Definition 1.1Identity

좌 항등원:eG  aG  a=ea\exists e \in G \; \forall a \in G \; a = e * a인 e를 좌 항등원(left identity)이라 한다.

우 항등원:eG  aG  ae=a\exists e \in G \; \forall a \in G \; a * e = a인 e를 우 항등원(right identity)이라 한다.

항등원:eG  aG  ae=a=ea\exists e \in G \; \forall a \in G \; a * e = a = e * a인 e를 항등원(identity)이라 한다.

Definition 1.2Inverse

좌 역원:aG  rG  ea=r=a\forall a \in G \; \exists r \in G \; e * a = r = a인 r를 a의 좌 역원(left inverse)이라 한다.

우 역원:aG  rG  ae=r=a\forall a \in G \; \exists r \in G \; a * e = r = a인 r을 a의 우 역원(right inverse)이라 한다.

역원:aG  rG  ar=e=ra\forall a \in G \; \exists r \in G \; a * r = e = r * a인 r를 a의 역원(inverse)이라 한다.

Definition 1.3Group

임의의 집합GG와 그 위에 정의된 이항 연산:G×GG\circ:G\times G \to G이 있다고 하자.

다음이 성립할 때 (G,)(G, \circ)을 군(group)이라 한다.

(G1) Associativity: a,b,cG  (ab)c=a(bc)\forall a, b, c \in G \; (a \circ b) \circ c = a \circ (b \circ c)

(G2) Identity: eG  aG  ae=a=ea\exists e \in G \; \forall a \in G \; a \circ e = a = e \circ a

(G3) Inverse: aG  rG  ar=e=ra\forall a \in G \; \exists r \in G \; a \circ r = e = r \circ a

Definition 1.4

집합GG와 군을 이루는 이항 연산 :G×GG\circ:G\times G \to G이 있다고 하자.

다음이 성립할 때\circ은 집합 GG위에서 가환이라 한다.

a,bG  ab=ba\forall a, b \in G \; a \circ b = b \circ a

Thesis 1.5항등원의 유일성

집합GG와 군을 이루는 이항 연산 :G×GG\circ:G\times G \to G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eG  aG  ae=a=ea\exists_{1} e \in G \; \forall a \in G \; a \circ e = a = e \circ a

서로 다른 두 항등원e1G,e2G  s.t.  (e1e2)\exists e_1 \in G, e_2 \in G \; s.t. \; (e_1 \neq e_2)이 있다고 하자.

e1e2=e1=e2e1e_1 \circ e_2 = e_1 = e_2 \circ e_1이므로 모순이 발생.

가정했던 조건(둘 이상의 서로 다른 항등원이 존재한다)는 틀렸다

즉, 항등원은 유일하다._\blacksquare

Thesis 1.6역원의 유일성

집합GG와 군을 이루는 이항 연산 :G×GG\circ:G\times G \to G에 대하여 \circGG 위에서 가환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aG  1rG  ar=e=ra\forall a \in G \; \exists_{1} r \in G \; a \circ r = e = r \circ a

서로 다른 두 역원r1G,r2G  s.t.  (r1r2)\exists r_1 \in G, r_2 \in G \; s.t. \; (r_1 \neq r_2)이 있다고 하자.

r1=r1e=r1(ar2)=(r1a)r2=er2=r2r_{1} = r_{1} \circ e = r_{1} \circ (a \circ r_{2}) = (r_{1} \circ a) \circ r_{2} = e \circ r_{2} = r_{2}이므로

r1=e=r2r_1 = e = r_2에서 모순이 발생, 가정했던 조건(둘 이상의 서로 다른 역원이 존재한다)는 틀렸다.

즉, 역원은 유일하다._\blacksquare

한편, 이러한 역원은 연산에서 ‘반대 방향으로의 연산’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예를 들어, 3의 역원 -3에서 5 + (-3)은 2+3에서 3을 되돌아가 2로 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산을 일반화해 역연산을 정의한다.

Definition 1.7Inverse Operation

집합GG와 군을 이루는 이항 연산 :G×GG\circ:G\times G \to G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1  :G×GG  s.t.  a,bG  ab=c    b=a1c\exist_{1} \circ^{-1} \; : G \times G \to G \; s.t. \; \forall a, b \in G \; a \circ b = c \iff b = a \circ^{-1} c

이러한 연산 1\circ^{-1}\circ에 대한 역연산(inverse operation)이라 한다.

Thesis 1.8이중 역원

집합GG와 군을 이루는 이항 연산 :G×GG\circ:G\times G \to G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aG\forall a \in G에 대하여 aa의 역원의 역원은 aa이다.

역원은 유일하므로 역원의 역원도 유일하다.

aa의 역원을 rr이라고 하자.

rr의 역원을 rr'이라고 하자.

r=re=r(ar)=r(ra)=(rr)a=ea=ar' = r' \circ e = r' \circ (a \circ r) = r' \circ (r \circ a) = (r' \circ r) \circ a = e \circ a = a

이므로 역원의 역원은 처음의 값과 같다._\blacksquare

FollowUp 1.8-1이중 역원

역원의 역연산은 원연산과 같다.

집합GG와 군을 이루는 이항 연산 :G×GG\circ:G\times G \to G에 대하여,

a,bG  a1b1=ab\forall a, b \in G \; a \circ ^{-1} b^{-1} = a \circ b

a,bG  a1b1=a(b1)1\forall a, b \in G \; a \circ ^{-1} b^{-1} = a \circ (b^{-1})^{-1}(1.7)=ab= a \circ b(1.8)

Thesis 1.9역연산의 유일성

집합GG와 군을 이루는 이항 연산 :G×GG\circ:G\times G \to G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1  :G×GG  (1\exists_{1} \circ^{-1} \; : G \times G \to G \; (\circ^{-1}\circ의 역연산))

서로 다른 두 역연산1  G×GG,2  G×GG  s.t.  (12)\exists *_{1} \; G \times G \to G, *_{2} \; G \times G \to G \; s.t. \; (*_{1} \neq *_{2})이 있다고 하자.

b1=a1cb_{1} = a *_{1} c이고 b2=a2cb_{2} = a *_{2} c이라고 하자.

ab1=ca \circ b_{1} = c이고 ab2=ca \circ b_{2} = c이다.(1.7)

b1b_{1}b2b_{2}aa에 대한 역원이다.(1.2)

한편, 역원은 유일하므로(1.6)b1=b2b_{1} = b_{2}이다.

따라서 a,cG  a1c=a2c\forall a, c \in G \; a *_{1} c = a *_{2} c이므로 1=2*_{1} = *_{2}이다.

이는 가정했던 조건(둘 이상의 서로 다른 역연산이 존재한다)과 모순이므로 역연산은 유일하다._\blacksquare

Definition 1.10Field

다음을 만족하는 집합 FF를 체라고 한다.

(A ) 다음을 만족하는 이항 연산 +:F×FF+:F\times F \to F가 존재한다.

(A1) a,bF  a+b=b+a\forall a, b \in F \; a + b = b + a

(A2) a,b,cF  (a+b)+c=a+(b+c)\forall a, b, c \in F \; (a + b) + c = a + (b + c)

(A3) ++에 대한 항등원 0F0 \in F이 존재한다.

(A4) aF  bF  s.t.  a+b=0=b+a\forall a \in F \; \exists b \in F \; s.t. \; a + b = 0 = b + a

(M ) 다음을 만족하는 이항 연산 ×:F×FF\times:F\times F \to F가 존재한다.

(M1) a,bF  a×b=b×a\forall a, b \in F \; a \times b = b \times a

(M2) a,b,cF  (a×b)×c=a×(b×c)\forall a, b, c \in F \; (a \times b) \times c = a \times (b \times c)

(M3) ×\times에 대한 항등원 1F1 \in F이 존재한다.

(M4) aF  (a0)  bF  s.t.  a×b=1=b×a\forall a \in F \;(a \neq 0) \; \exists b \in F \; s.t. \; a \times b = 1 = b \times a

(D ) 분배법칙이 성립한다.

Property 1.11

R\R은 체이다.

Definition 1.12

다음과 같은 함수 :RR-: \R \to \R를 인수의 역원으로 정의한다.

x=(x-x = (x의 역원))

이러한 함수 -를 연산으로 확장하여 이항연산 :R×RR-: \R \times \R \to \R++의 역원으로 정의한다.

즉, xy=x+(y)x - y = x + (-y)(1.7)

덧셈의 역원 -와 덧셈의 역연산 -는 기호는 같으나 서로 다름을 주의하자.

Thesis 1.13

rR  r×0=0=0×r\forall r \in \R \; r \times 0 = 0 = 0 \times r

r  0\forall r \; 0

=r×0+((r×0))=r \times 0+(- (r \times 0))(A4)

=r×(0+0)+((r×0))=r \times (0+0)+(- (r \times 0))(A3)

=r×0+r×0+((r×0))=r \times 0+r \times 0+(- (r \times 0))(D)

=r×0+[r×0+((r×0))]=r \times 0+[r \times 0+(- (r \times 0))](A2)

=r×0+0=r \times 0+0(A4)

=r×0=r \times 0(A3)

=0×r=0 \times r(M1)_\blacksquare

Property 1.14

다음이 성립한다.

rR  r>0r=0r<0\forall r \in \R \; r > 0 \oplus r = 0 \oplus r < 0

Thesis 1.15

rR+r<0\forall r \in \R^{+} \Rightarrow -r <0이고 rRr>0\forall r \in \R^{-} \Rightarrow -r >0이다.

rR+r>0\forall r \in \R^{+} \Rightarrow r>0

If r>0-r>0

r+(r)>0+0=0r + (-r) > 0 + 0 = 0이고 r+(r)=0r + (-r) = 0(1.2)이다.

따라서, 0>00 > 0이고 0=00 = 0이므로 모순이 발생.(1.14)

If r=0-r=0

r=r+0=r+(r)=0r = r + 0 = r + (-r) = 0이고 r>0r > 0이므로 모순이 발생.(1.14)

따라서, r<0-r < 0이다.(1.14)

같은 방식으로 rRr>0\forall r \in \R^{-} \Rightarrow -r > 0임을 증명할 수 있다._\blacksquare

Thesis 1.16

다음이 성립한다.

rR  (r)×r=r×r\forall r \in \R \; (-r) \times r = -r \times r

r+(r)=0r + (-r) = 0(1.2)

{r+(r)}×r=0×r\Rightarrow\{r + (-r)\} \times r = 0 \times r

{r+(r)}×r=0\Rightarrow\{r + (-r)\} \times r = 0(1.2)

r×r+(r)×r=0\Rightarrow r \times r + (-r) \times r = 0

r×r+(r)×r+(r×r)=0+(r×r)\Rightarrow r \times r + (-r) \times r + (-r \times r) = 0 + (-r \times r)

r×r+(r)×r+(r×r)=r×r\Rightarrow r \times r + (-r) \times r + (-r \times r) = -r \times r(1.10:A3)

(r)×r+r×r+(r×r)=r×r\Rightarrow(-r) \times r + r \times r + (-r \times r) = -r \times r(1.10:A1)

(r)×r+{r×r+(r×r)}=r×r\Rightarrow(-r) \times r + \{r \times r + (-r \times r)\} = -r \times r(1.10:A2)

(r)×r+0=r×r\Rightarrow(-r) \times r + 0 = -r \times r(1.10:A3)

(r)×r=r×r\Rightarrow(-r) \times r = -r \times r(1.10:A3)_\blacksquare

Thesis 1.17

다음이 성립한다.

rR(r0)  r×r>0\forall r \in \R (r \neq 0) \; r \times r > 0

If r > 0

r×rr \times r

>r×0> r \times 0

=01=0 \cdots *1

If r < 0

r×r-r \times r

=(r)×r= (-r) \times r(1.16)

=r×(r)= r \times (-r)(1.10:M1)

>0×(r)(r<0r>0)> 0 \times (-r) (r<0 \Rightarrow -r > 0)(1.15)

=0= 0(1.13)

r×r>02\therefore r \times r > 0\cdots *2(1.15)

rRr \in \R

r>0r<0\Rightarrow r > 0 \vee r < 0

r×r>0(r)×r>0  (1,2)\Rightarrow r \times r > 0 \vee (-r) \times r > 0 \; (*1, *2)

r×r>0\Rightarrow r \times r > 0_\blacksquare

FollowUp 1.17-1

이제 이로부터 다음이 자명하다.

rR  r×r0\forall r \in \R \; r \times r \geq 0

rR  r=0r0\forall r \in \R \; r = 0 \vee r \neq 0

r×r=0r×r>0\Rightarrow r \times r = 0 \vee r \times r > 0(1.17)

r×r0\Rightarrow r \times r \geq 0

Definition 1.18

a,bR  (a<b)a, b \in \R \; (a<b)에 대하여 구간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Open Interval)Iopen=(a,b)={xR    a<x<b}I_{open} = (a, b) = \{x \in \R \; | \; a < x < b\}

(Closed Interval)Iclosed=[a,b]={xR    axb}I_{closed} = [a, b] = \{x \in \R \; | \; a \leq x \leq b\}

[a,b)={xR    ax<b}[a, b) = \{x \in \R \; | \; a \leq x < b\}

(a,b]={xR    a<xb}(a, b] = \{x \in \R \; | \; a < x \leq b\}

Definition 1.19

rRr \in \R에 대하여 구간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r,)={xR    r<x}(r, \infty) = \{x \in \R \; | \; r < x\}

[r,)={xR    rx}[r, \infty) = \{x \in \R \; | \; r \leq x\}

(,r)={xR    x<r}(-\infty, r) = \{x \in \R \; | \; x < r\}

(,r]={xR    xr}(-\infty, r] = \{x \in \R \; | \; x \leq r\}

(,)=R(-\infty, \infty) = \R

Definition 1.20

절댓값은 두 실수 차이의 순서없는 차이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rR  r={r,if r0r,if r<0\forall r \in \R \; |r| = \begin{cases} r, & \text{if } r \geq 0 \\ -r, & \text{if } r < 0 \end{cases}

Thesis 1.21

절댓값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A1) rR  r0\forall r \in \R \; |r| \geq 0

(A2) rR  r=r\forall r \in \R \; |r| =|-r|

(A3) a,bR  ab=ab\forall a, b \in \R \; |ab| = |a||b|

(A4) a,bR  ab=ab\forall a, b \in \R \; |\frac{a}{b}| = \frac{|a|}{|b|}

(A5) a,bR  a+ba+b\forall a, b \in \R \; |a + b| \leq |a| + |b|

(A6) rR  r=0    r=0\forall r \in \R \; |r| = 0 \iff r = 0

(A1)

If r0  then,  r=r0r \geq 0 \; \rm{then,} \; |r| = r \geq 0(1.20)

If r<0  then,  r=rr < 0 \; \rm{then,} \; |r| = -r(1.20)>0>0(1.15)

rR  r0r<0r0r>0r0\therefore \forall r \in \R \; r \geq 0 \vee r < 0 \Rightarrow |r| \geq 0 \vee |r| > 0 \Rightarrow |r| \geq 0 _\blacksquare

(A2)

r|-r|={r,if r0r,if r<0= \begin{cases} -r, & \text{if } -r \geq 0 \\ r, & \text{if } -r < 0 \end{cases}={r,if r0r,if r>0= \begin{cases} -r, & \text{if } r \leq 0 \\ r, & \text{if } r > 0 \end{cases}(1.15)=r=|r|(1.20)_\blacksquare

(A3)

If a0,b0a \geq 0, b \geq 0

ab=ab=ab|ab| = ab = |a||b|(1.20)

If a<0,b<0a < 0, b < 0

준비중

If   WOLG,  a<0,b0\; \sf{WOLG, } \; a < 0, b \geq 0

준비중_\blacksquare

(A4)

ab=ab|\frac{a}{b}| = \frac{|a|}{|b|}abb=a\Leftarrow |\frac{a}{b}| |b| = |a|(b0)(\because b \neq 0) ab×b=a\Leftarrow |\frac{a}{b} \times b| = |a|(A3)a=a\Leftarrow |a| = |a| _\blacksquare

(A5)

준비중_\blacksquare

(A6)

0=0|0| = 0(00)(\because 0 \geq 0) 준비중_\blacksquare

Definition 1.22Distance Function

집합XX위에 정의된 함수 d:X×XRd:X \times X \to \R이 다음 성질을 만족할 때,이 함수를 XX위의 거리 함수(distance function)라 한다.

또한 A,BX\forall A, B \in X에 대하여d(A,B)d(A, B)AABB 사이의 거리라고 한다.

(D1) A,BX  d(A,B)0\forall A, B \in X \; d(A, B) \geq 0

(D2) A,BX  d(A,B)=0    A=B\forall A, B \in X \; d(A, B) = 0 \iff A = B

(D3) A,BX  d(A,B)=d(B,A)\forall A, B \in X \; d(A, B) = d(B, A)(대칭성)

(D4) A,B,CX  d(A,C)d(A,B)+d(B,C)\forall A, B, C \in X \; d(A, C) \leq d(A, B) + d(B, C)(삼각방정식)

Definition 1.23

실수집합R\R에 대한 거리함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d(x,y)=xyd(x, y) = |x - y|

Definition 1.24

양의 실수 rR+r \in \R^{+}과 자연수 nNn \in \N에 대하여,

rR+r \in \R^{+}aann거듭제곱근 중 하나라는 것은 다음과 동치이다.

nN  aR+  r×r××rn times=a\forall n \in \N \; \forall a \in \R^{+} \; \underbrace{r \times r \times \cdots \times r}_{n \text{ times}} = a

aR+  a=a2\forall a \in \R^{+} \; \sqrt{a} = \sqrt[2]{a}

Definition 1.25

실수 rRr \in \R에 대한 유리수 qQq \in \mathbb{Q}의 거듭제곱

p(a,b):[(R+×Q+)({0}×Q+)]Rp(a,b) : [ (\R^{+} \times \mathbb{Q}^{+}) \cup (\{0\} \times \mathbb{Q}^{+}) ] \to \R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P1) p(a,n)=a×a××an times  (nN)p(a,n)=\underbrace{a \times a \times \cdots \times a}_{n \text{ times}} \; (n \in \mathbb{N})

(P2) p(a,0)=0  (aR+)p(a,0)=0 \; (a \in \R^{+})

(P3) p(a,mn)=p(a,m)n  (aR+,mZ,nN)p(a,\frac{m}{n})=\sqrt[n]{p(a,m)} \; (a \in \R^{+}, m \in \mathbb{Z}, n \in \mathbb{N})

(P4) p(a,q)=1p(a,q)  (aR+,qQ+)p(a,-q)=\frac{1}{p(a,q)} \; (a \in \R^{+}, q \in \mathbb{Q}^{+})

Thesis 1.26

거듭제곱근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R1) abn=anbn\sqrt[n]{ab} = \sqrt[n]{a} \sqrt[n]{b}

(R2) abn=anbn  (b0)\sqrt[n]{\frac{a}{b}} = \frac{\sqrt[n]{a}}{\sqrt[n]{b}} \; (b \neq 0)

(R3) amn=amn\sqrt[mn]{a} = \sqrt[n]{\sqrt[m]{a}}

(R4) ann=a  (where n is even)\sqrt[n]{a^{n}} = a \; (\text{where } n \text{ is even})

(R5) ann=a  (where n is odd)\sqrt[n]{a^{n}} = |a| \; (\text{where } n \text{ is odd})

준비중_\blacksquare

Thesis 1.27

거듭제곱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P1) am+n=amana^{m+n} = a^{m} a^{n}

(P2) amn=aman  (a0)a^{m-n} = \frac{a^{m}}{a^{n}} \; (a \neq 0)

(P3) amn=(am)na^{mn} = (a^{m})^{n}

(P4) (ab)n=anbn(ab)^{n} = a^{n} b^{n}

(P5) (ab)n=anbn  (b0)\left(\frac{a}{b}\right)^{n} = \frac{a^{n}}{b^{n}} \; (b \neq 0)

(P6) (ab)n=bnan  (a0,b0)\left(\frac{a}{b}\right)^{-n} = \frac{b^{n}}{a^{n}} \; (a \neq 0, b \neq 0)

(P7) anbm=bman  (a0,b0)\frac{a^{-n}}{b^{-m}} = \frac{b^{m}}{a^{n}} \; (a \neq 0, b \neq 0)

준비중_\blacksquare

Definition 1.28Scientific Notation

다음과 같은 표기법을 과학적 표기법(scientific notation)이라 한다.

a×10n  (a[1,10),nZ)a \times 10^{n} \; (a \in \left[1, 10\right), n \in \Z)

Definition 1.29Rationalization

유리화란 분모를 유리수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유리수로 바꾼 후 간단히 하는 것까지 포함한다.

ex) 63=63×33=633=23\frac{6}{\sqrt{3}} = \frac{6}{\sqrt{3}} \times \frac{\sqrt{3}}{\sqrt{3}} = \frac{6\sqrt{3}}{3} = 2\sqrt{3}

Definition 1.30Monomial

다음과 같은 식을 단항식이라 한다.

a  (aR)  a \; (a \in \R) \;또는 axn  (aR,nN)a x^{n} \; (a \in \R, n \in \N)

여기서 aa는 계수(coefficient)이고, nn은 차수(degree)이다.

다항식 a를 관용적으로 ax0ax^{0}으로 표기하며 이에 따라 차수를 0으로, 단항식의 계수를 a로 정의한다.

Definition 1.31Polynomial

다음과 같이 다항식을 정의한다.

(P1) 임의이 단항식은 다항식이다.

(P2) P(x)P(x)Q(x)Q(x)이 다항식일 때, P(x)+Q(x),P(x)Q(x),P(x)×Q(x)P(x) + Q(x), P(x) - Q(x), P(x) \times Q(x)은 다항식이다.

Thesis 1.32다항식의 일반형

임의의 다항식은 다음의 꼴로 나타낼 수 있다.

P(x)=anxn+an1xn1++a1x+a0  (aiR,nN)P(x) = a_{n} x^{n} + a_{n-1} x^{n-1} + \cdots + a_{1} x + a_{0} \; (a_{i} \in \R, n \in \N)

준비중_\blacksquare

Definition 1.33Polynomial Coefficient and Degree

다항식은 (1.32)에 의해 서로 다른 차수의 단항식의 합으로 표현 가능하다.

이에 따라 각 다항식은 차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으며 그 중 최대 / 최소의 차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준비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