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1.1Identity
좌 항등원:인 e를 좌 항등원(left identity)이라 한다.
우 항등원:인 e를 우 항등원(right identity)이라 한다.
항등원:인 e를 항등원(identity)이라 한다.
Definition 1.2Inverse
좌 역원:인 r를 a의 좌 역원(left inverse)이라 한다.
우 역원:인 r을 a의 우 역원(right inverse)이라 한다.
역원:인 r를 a의 역원(inverse)이라 한다.
Definition 1.3Group
임의의 집합와 그 위에 정의된 이항 연산이 있다고 하자.
다음이 성립할 때 을 군(group)이라 한다.
(G1) Associativity:
(G2) Identity:
(G3) Inverse:
Definition 1.4
집합와 군을 이루는 이항 연산 이 있다고 하자.
다음이 성립할 때은 집합 위에서 가환이라 한다.
Thesis 1.5항등원의 유일성
집합와 군을 이루는 이항 연산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서로 다른 두 항등원이 있다고 하자.
이므로 모순이 발생.
가정했던 조건(둘 이상의 서로 다른 항등원이 존재한다)는 틀렸다
즉, 항등원은 유일하다.
Thesis 1.6역원의 유일성
집합와 군을 이루는 이항 연산 에 대하여 이 위에서 가환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서로 다른 두 역원이 있다고 하자.
이므로
에서 모순이 발생, 가정했던 조건(둘 이상의 서로 다른 역원이 존재한다)는 틀렸다.
즉, 역원은 유일하다.
Definition 1.7Inverse Operation
집합와 군을 이루는 이항 연산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이러한 연산 을 에 대한 역연산(inverse operation)이라 한다.
Thesis 1.8이중 역원
집합와 군을 이루는 이항 연산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에 대하여 의 역원의 역원은 이다.
역원은 유일하므로 역원의 역원도 유일하다.
의 역원을 이라고 하자.
의 역원을 이라고 하자.
이므로 역원의 역원은 처음의 값과 같다.
Thesis 1.9역연산의 유일성
집합와 군을 이루는 이항 연산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은 의 역연산
Definition 1.10Field
다음을 만족하는 집합 를 체라고 한다.
(A ) 다음을 만족하는 이항 연산 가 존재한다.
(A1)
(A2)
(A3) 에 대한 항등원 이 존재한다.
(A4)
(M ) 다음을 만족하는 이항 연산 가 존재한다.
(M1)
(M2)
(M3) 에 대한 항등원 이 존재한다.
(M4)
(D ) 분배법칙이 성립한다.
Property 1.11
은 체이다.
Thesis 1.13
(A4)
(A3)
(D)
(A2)
(A4)
(A3)
(M1)
Property 1.14
다음이 성립한다.
Thesis 1.15
이고 이다.
Thesis 1.17
다음이 성립한다.
FollowUp 1.17-1
Definition 1.18
에 대하여 구간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Open Interval)
(Closed Interval)
Definition 1.19
에 대하여 구간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Definition 1.20
절댓값은 두 실수 차이의 순서없는 차이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Thesis 1.21
절댓값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A1)
(A2)
(A3)
(A4)
(A5)
(A6)
Definition 1.22Distance Function
집합위에 정의된 함수 이 다음 성질을 만족할 때,이 함수를 위의 거리 함수(distance function)라 한다.
또한 에 대하여를 와 사이의 거리라고 한다.
(D1)
(D2)
(D3) (대칭성)
(D4) (삼각방정식)
Definition 1.23
실수집합에 대한 거리함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Definition 1.24
양의 실수 과 자연수 에 대하여,
이 의 거듭제곱근 중 하나라는 것은 다음과 동치이다.
Definition 1.25
실수 에 대한 유리수 의 거듭제곱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P1)
(P2)
(P3)
(P4)
Thesis 1.26
거듭제곱근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R1)
(R2)
(R3)
(R4)
(R5)
준비중
Thesis 1.27
거듭제곱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P1)
(P2)
(P3)
(P4)
(P5)
(P6)
(P7)
준비중
Definition 1.28Scientific Notation
다음과 같은 표기법을 과학적 표기법(scientific notation)이라 한다.
Definition 1.29Rationalization
유리화란 분모를 유리수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유리수로 바꾼 후 간단히 하는 것까지 포함한다.
ex)
Definition 1.30Monomial
다음과 같은 식을 단항식이라 한다.
또는
여기서 는 계수(coefficient)이고, 은 차수(degree)이다.
다항식 a를 관용적으로 으로 표기하며 이에 따라 차수를 0으로, 단항식의 계수를 a로 정의한다.
Definition 1.31Polynomial
다음과 같이 다항식을 정의한다.
(P1) 임의이 단항식은 다항식이다.
(P2) 와 이 다항식일 때, 은 다항식이다.
Thesis 1.32다항식의 일반형
임의의 다항식은 다음의 꼴로 나타낼 수 있다.
준비중
Definition 1.33Polynomial Coefficient and Degree
다항식은 (1.32)에 의해 서로 다른 차수의 단항식의 합으로 표현 가능하다.
이에 따라 각 다항식은 차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으며 그 중 최대 / 최소의 차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준비중